봉화산은 중랑구 상봉동,중화동,묵동,신내동에 접하여 있고 정상까지 높이는 160.1m 로 평지에 돌출되어 있는 독립구릉이다. 동쪽에 아차산 주능선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불암산,도봉산과 양주 일대까지 잘 조망 되며, 서쪽과 남쪽으로도 높은 산이 없어 남산과 이남지역도 잘 보이는 지역이다. 봉화산은 일명 “봉우재”라고 불리는데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에서 서울시에 편입되었다. 봉화산이라는 이름에서 봉화와 관련 있는 지역임을 알 수 있는데 이곳은 북쪽의 한이산으로 부터 연락을 받아 목멱산(남산)으로 전달하는 아차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지난 1994년 11월 7일 봉수대를 복원하였다. 묵동 산 46-1번지 일대에 봉화산 근린공원인 “봉화공원”이 지정되어 5개의 산책로 5㎞가 조성되어 있다. 봉화산의 주요 수종은 소나무이며, 기슭에는 먹골배로 유명한 배나무 밭이 조성되어 있는데 점차 주변지역으로 잠식되고 있다. 한편 봉화산 정상에서 약간 남쪽에 봉화산 도당인 산신각이 있으며, 이곳은 약 400년 전에 주민들이 도당굿과 산신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. 현재의 산신각은 1992년 여름에 일어난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은 붉은 벽돌과 시멘트로 지은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.
(관리부서 : 공원녹지과 02-2094-2357)
봉화산 봉수대
봉화산봉수대
봉화산인공폭포
봉화산봉수대
봉화산도당제